본문 바로가기

소소한일상

WOL 사용으로 원격으로 컴퓨터 부팅하기

WOL 사용으로 원격으로 컴퓨터 부팅하기


가끔씩 현재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가 아닌 다른 곳에 있는 컴퓨터를 부팅해야 하는 일이 있습니다.

특히 사무실에 출근을 하였는데 집에 중요한 자료가 있다면

컴퓨터를 원격으로 부팅을 하여 자료를 가져오면 편리합니다.

물론 원격으로 부팅 한 컴퓨터에 접속이 가능해야 하지만 말이죠.


그래서 오늘은 WOL 설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WOL 이란 Wake On Lan 의 이니셜이라고 합니다.

랜선상에서 컴퓨터를 깨운다는 뜻인 것 같아요.

깨운다가 이상하면 활기를 띠게 하다 정도로.


WOL의 대상이 되는 컴퓨터에 해 줄 설정은 크게 3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첫째로 바이오스에서 설정을 잡아 줘야 하며

둘째는 랜카드 속성에서 설정을 해 주어야 하며

셋째는 제어판의 전원 옵션에서 체크를 빼 줘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럼 차례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바이오스 설정


CMOS의 경우 제조사마다 또는 모델명마다 약간씩 메뉴명이 다릅니다.

그리고 아주 구보드의 경우 이 기능이 없는 것도 있다고 하는데요.

최근 10년 이내의 메인보드는 왠만하면 있을 것 같습니다.

예전에 랜카드를 꼽아야 하는 보드가 아닌

내장 랜카드가 있는 보드들 중에서는

아직 지원하지 못하는 보드를 보지는 않았거든요.




예전에 사용하던 어워드 바이오스 모습입니다.

바이오스 설정으로 들어가서 

"Power Management Setup"

을 클릭 해 봅니다.

들어가니 PME Event Wake UP 이라는 항목이 보입니다.

여기서 Enabled 로 변경을 해 줍니다.


메인보드마다 약간씩 메뉴명이 다르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기가바이트의 경우 

"advanced" 또는 "Power" 관련 메뉴를 먼저 찾습니다.

그런다음 PME Wake UP 비슷한 메뉴나

Wake On Lan 비슷한 메뉴를 찾습니다.

또는 acpi configuraiton 의 PCI devices on 을 Enabled 해 줍니다.

이 경우 EuP Support가 Disable 상태를 해 줘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수스의 경우

advanced 안에 들어 있는 듯 합니다.

Power On My PCI-E/PCI 을 Enabled

Wake From Onboard LAN 을 Enabled

해 주세요.


asrock 는 현재 제가 사용하는 보드이네요.

제가 가지고 있는 보드 중에 가장 최신보드입니다.

바이오스 진입 후 F6을 눌러 Advanced Mode 로 진입을 합니다.

그런 다음 Advanced 탭을 클릭 하세요.

ACPI Configeration 클릭을 해 줍니다.

PCIE Devices Power On 을 Enabled 로 수정을 해 줍니다.


위에서 보면 아시겠지만 

대부분 Advanced 항목에서 셋팅을 해 주는 메뉴가 있는 듯 하네요.

Wake 관련 항목이나 ACPI 관련 항목에서 PCI devices 를 사용가능하게 해 주시면 될 것같습니다.


2 랜카드 속성

이제 랜카드에서도 패킷을 받아 작동을 하는 것을 설정을 해 줘야 합니다.



윈도우 탐색기를 열면 왼쪽에 내PC 라고 있습니다.

바탕화면에 내 컴퓨터라고 있으면 

굳이 윈도우 탐색기 ( 파일 탐색기)를 열지 않아도 됩니다.

선택을 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속성을 클릭합니다.



속성을 클릭하여 시스템에 들어왔으면 "장치관리자"를 클릭합니다.

장치관리자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를 클릭하고

보드에 있는 네트워크의 속성창을 엽니다.

무선랜카드의 경우는 WOL 기능을 지원해 주는 것이 거의 없다고 해요.

보드에 유선랜카드가 있어야 정상적으로 작동을 할 것입니다.



랜카드 속성에 들어와 왔으면 상단의 고급탭을 클릭합니다.

매직 패킹 웨이크 온을 사용으로 해 주세요.

이것만 사용으로 해 줘도 되지만

패턴 일치 웨이크 온도 사용으로 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약 이런 항목들이 없다면 랜카드 드라이브를 업데이트 해 보세요.

또는 위와 비슷한 Wake On Lan 항목이 있는데도 

작동이 안 되는 경우에도 드라이브 업데이트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 같은 경우 랜카드사가 realtek 사의 제품이었는데 

윈도우 설치하면서 잡은 드라이브로는 원격에서 켜지지 않았는데

REALTEK 제조사의 Win10 AUTO Installation Program

으로 최신 드라이브로 업데이트 하니 되더라구요.



고급에서 사용으로 설정을 하였으면 상단 탭에서 전원 관리를 클릭합니다.

저는 이 부분을 항상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전원 관리에 들어 왔으면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컴퓨터가 이 장치를 끌 수 있음에 

체크를 없애 주셔야 합니다.


이로써 랜카드 속성 설정은 다 마쳤습니다.


3 전원 옵션


이제 제어판 설정만 남았네요.

우선은 제어판으로 들어 와 봅니다.



전원옵션이라고 보이고 있어요.

전원 옵션을 클릭하세요.



그럼 위와 같이 전원 단추 작동 설정이라는 메뉴가 왼쪽에 보여요.

클릭을 해 주세요.



그럼 하단에 종료 설정에 빠른 시작 켜기가 체크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 체크를 없애 주어야 하는데요.

해당 부분이 처음 접속하면 회색으로 비 활성화 되어 있어요.

이런 경우 상단의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을 클릭하시면

종료 설정 부분의 체크들을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빠른 시작 켜기 체크를 없애고 하단의 변경 내용 저장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제는 원격에서 다른 컴퓨터 부팅을 할 수 있는 설정이 끝났습니다.

그런데 회사에서 집에 있는 내 컴퓨터를 켤 수 있을까요?

기본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왜냐면 Wol 기능은 LAN 상에서만 가능하지 WAN 상태에서는 작동을 하지 않거든요.

하지만 많은 분들이 집에서 공유기를 사용하실 것입니다.

그럼 공유기에서는 해당 공유기에 물려 있는 컴퓨터에는 패킷을 발송할 수가 있어요.

이런 기능을 할 수 있는 앱을 공유기제조사에서 제공을 하고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아이피타임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ipTIME WOL 이라는 앱으로 회사 컴퓨터와 집 컴퓨터를

유사시에 부팅을 하면서 사용을 하고 있답니다.